신한은행 공인인증센터 홈페이지

누구나 쉽게 사용할수 있는 인터넷뱅킹은 편하기는 하지만 안전하게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전적인 부분이 걸려있다보니 기본적으로 해야하는 인증 절차라는 것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가장 간단한 방식은 당연히 공인인증서라는 것을 사용해서 쓰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는 인기있는 여러 은행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개인적으로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이 가장 많이 생각나는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주식을 하는 저같은 사람은 당연히 그럴것 같기도 하지만 말이죠. 그래서 오늘은 이들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한은행도 그렇도 모든 은행들은 온라인상에서 거래를 하기위해서는 별도의 인증을 거쳐야만 합니다. 이전에 우리가 쓰는 보안카드라는 것도 그중 하나이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공인인증서 라고 하는 것입니다. 아 물론 이건 작년에 폐지되었습니다.

작년쯤에 공인인증이라는 제도가 폐지되고 공동인증서라는 것이 새롭게 등장했는데요. 기존 사용자들 입장에서 말씀들이면 차이는 없습니다. 불리우던 명칭이 바뀐것이기 때문이죠. 이전에 쓰는 인증서를 그대로 쓰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아직 이런 인증수단이 없는 분들은 가까운 은행에 직접 방문하셔서 이것을 신청해주셔야 합니다. 신한은행에 계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기본중에 기본이겠구요. 그럼 신청을 했다는 가정하에서 설명하죠.

인터넷에서 신한은행 공인인증센터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온라인 검색사이트에서 신한은행 인터넷뱅킹 혹은 이름만 넣어서 검색하시면 나오는 공식홈페이지에서 아주 간단하게 진행할수 있기때문이죠.

신한은행 공식 인터넷뱅킹 홈페이지 바로가기

 

Shinhan Bank

 

www.shinhan.com

그렇게 접속된 홈페이지에서 살펴보시면 여러분들이 원하는 공인인증센터를 찾을수 있는데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전체메뉴 부분을 눌러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거기에서 바로 찾을수 있으니 말이죠.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공인인증서는 이제 없어진 명칭이라서 구 라는 글씨가 써있고 이젠 공동인증서라고 불리는데 둘이 같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기존과 동일하게 발급을 받거나 사용기간이 다왔을때 갱신, 재발급 등을 할수 있죠.

공인인증센터에서 인증서 발급 비용은?

추가적으로 스마트폰 인증서 복사는 물론이고 범용인증서를 발급 받을수 도 있는 기능이 있는데 일반 개인 사용자들은 은행용을 받으면 되고 그건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전자거래범용은 4400원을 내야합니다.